낙산 아래 소용동에 과부 안씨가 있었는데 집안에서 염불하며 채식만 하고 늘 흰 중 옷을 입고 짚으로 짠 둥근 갓을 쓰고 살다가 60세가 넘어서 죽었다. 자녀는 없었으므로 조카가 그 집에서 살았다. 몇 년 지나자 마루에서 사람 소리가 들려 조카가 나가 보니 안씨가 흰 중 옷을 입고 짚으로 짠 둥근 갓을 쓰고 환한 대낮에 앉아 있는 것이었다. 온 집안 사람들이 황송해하며 차례로 줄 서 절을 올리니 안씨가 배고프다며 음식을 청하였다. 그 집에서 성찬을 차려 올리니 그릇 가득한 음식들을 잠깐 사이에 다 비우고 또 달라고 구하기에 다시 차려서 먹였다. 한 달 남짓이같이 하였다. 하루는 바야흐로 봄철이어서 산 가득한 두견화가 진실로 아름다웠는데, 그것으로 떡을 만들어 먹고 싶다 하였다. 그 집에서는 기름을 사서 전을 붙여 몇 그릇 가득히 올렸는데 그 그릇을 또 다 비우는 것이었다. 이로부터 진기하고 색다른 음식을 요구했으므로, 갖추어서 진상하면 한번에 곧 다 먹어 치웠고, 주지 않으면 당장 화를 내어 괴이한 짓을 벌였다. 사내아이종을 구타하기도 하며 자제들을 능멸하기도 하였으므로 그 고통스러움을 견디기 어려웠다. 게다가 재산이 다 떨어지면 그 음식 공급을 계속하기 어렵겠기에 다른 곳으로 피해 가서 살자고 몰래 의논하였다. 그런데 안씨가 말하였다.
"주인, 어디로 가려 하시오. 나도 따라가고 싶소."
결국 그 계책을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안씨가 말했다.
"내가 이곳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서 주인을 많이 괴롭혔소. 나도 마음이 편치 못하오. 원컨대 술과 음식을 넉넉하게 갖추어서 동쪽 소문 밖 장송과 유수 사이에서 나를 전별해주오."
주인은 몹시 기뻐하며 집안 재산을 바쳐 전별 음식을 장만하여 동쪽 소문 밖 산수가 청결한 곳에서 제공해 주었다. 그 후로는 소리가 없어지고 조용해졌으므로 집안 사람들은 서로 노고를 치하하였다. 그런데 10여 일이 지나자 문득 집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렸다. 계집종이 나가 보니 검은 얼굴에 수염이 많이 났으며 머리에는 흰색 대 모자를 쓰고 새끼 끈으로 갓끈을 삼은 어떤 한 사내가 절을 하면서 말하는 것이었다.
"사장인 안씨가 왔소이다."
얼마 안 있어 흰 중 옷에 둥근 갓을 쓴 안씨가 대청 안으로 들어와 앉으니 그 외에 봉두난발에 누더기 옷을 입은 남녀 귀신들이 대청과 뜰을 가득 채우고서 밥과 고기를 달라는 것이었다. 떠들썩하니 혜살을 놓으면서 그릇을 부수고 사람을 구타하고 한 집안의 아침저녁 물자와 상자에 저장해 놓은 것을 탕진하여 남김이 없었다. 쇠똥과 말 오줌이 방과 우리 여기저기 떨어져 있어 사람이 있을 곳이라곤 없었다. 그래서 온 집안 사람들이 서로 이끌고 달아나 피하였지만 가는 곳마다 쫓아오지 않는 곳이 없었다. 몇 년 사이에 서로 뒤를 이어 죽어 낙산 아래의 집은 텅 비게 되었다.
'이야기보따리 - 책 > 어우야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우야담 3 / (92) 대식가들 (0) | 2021.11.04 |
---|---|
어우야담 3 / (69) 죽고 사는 것은 운명 (0) | 2021.11.02 |
어우야담 3 / (61) 이경희에게 붙은 귀신 - 물괴 - (0) | 2021.10.29 |
어우야담 3 / (59) 승정원 귀신 (0) | 2021.10.29 |
어우야담 3 / (37) 중의 환술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