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순(孫順)은 모량리 사람으로 아버지는 학산(鶴山)이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아내와 함께 남의 집에서 품을 팔아 곡식을 얻어 늙은 어머니를 봉양했다. 어머니의 이름은 운오(運烏)였다. 손순에게는 어린 아들이 있었는데 항상 어머니의 밥을 빼앗아 먹자. 손순은 민망하게 여겨 아내에게 말했다.
"아이는 또 얻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다시 모실 수 없소. 그런데 아이가 어머니 밥을 빼앗아 먹으니 어머니의 굶주림이 얼마나 심하겠소. 아이를 땅에 묻어 어머니의 배를 채워 드리도록 해야겠소."
그러고는 아이를 업고 취산(醉山) 북쪽 들로 가서 땅을 파자 이상한 돌종이 나왔다. 부부는 놀라고 괴이하게 여겨 재빨리 나무 위에 걸고 한 번 쳐 보니 소리가 은은하여 듣기에 좋았다. 아내가 말했다.
"이상한 물건을 얻은 것은 아마도 아이의 복인 것 같으니 아이를 묻어서는 안 되겠어요."
남편도 그렇게 여겨 아이를 종과 함께 업고는 집으로 돌아와 종을 들보에 매달고 쳤다. 그러자 종소리가 대궐에까지 퍼져 홍덕왕이 듣고는 신하들에게 말했다.
"서쪽 교외에서 이상한 종 소리가 들리는데 맑고 고운 것이 보통 종과 비길 바가 아니니 빨리 가서 조사해 보라."
왕의 사신이 그의 집을 조사하고 나서 그 사유를 모두 아뢰었다. 왕이 말했다.
"옛날 곽거(郭巨)가 아들을 땅에 묻으려 하자 하늘이 금솥을 내려주었는데, 지금 손순이 아이를 묻으려 하자 땅에서 돌종이 솟았으니, 곽거의 효도와 손순의 효도를 천지가 함께 본 것이다."
따라서 집 한 채를 내려주고 해마다 벼 50섬을 주어 극진한 효성을 기렸다.
손순은 옛 집을 내놓아 절을 삼아 홍효사(弘孝寺)라 하고 돌종을 두었는데, 진성왕(眞聖王) 대에 후백제의 도적들이 이 마을에 들어오는 바람에 종은 없어지고 절만 남았다. 그 종을 얻은 자리를 완호평(完乎坪)이라 했는데, 지금은 잘못 전하여 지량평(枝良坪)이라 한다.
'이야기보따리 - 책 > 삼국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유사 / 신주 제 6 / 밀본법사가 요사한 귀신을 꺾다 (0) | 2020.11.13 |
---|---|
삼국유사 / 신주 제 6 / 혜통이 용을 항복시키다 (0) | 2020.11.13 |
삼국유사 / 감통 제 7 / 월명사의 도솔가 (0) | 2020.11.13 |
삼국유사 / 감통 제 7 / 김현이 호랑이를 감동시키다 (0) | 2020.11.12 |
삼국유사 / 감통 제 7 / 선율이 살아 돌아오다 (0) | 2020.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