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2 도착지 : in on , in to
도착지는 전치사 on과 to로 나타내는데 이 두 전치사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전치사 on은 그것의 목적어가 접촉이나 영향을 받는 경우이고 to에는 도착지의 의미만 있다.
도식 15a X-X-X-X->Y 도식 15b X-X-X-X-> Y
시간대 시간대
in on : 거리를 좁혀 들어가서 (in) 접촉 in to : 도착지를 향해 접근해 가는 관계
다음에서 in의 도착지는 on으로 표시되고 on은 이동체가 도착지에 닿아서 영향을 받는 관계이다.
(56) a. Police closed in on the criminal.
경찰이 범위를 좁혀 들어가서 그 범인을 잡았다.
b. The pilot zeroed in on the target.
그 조종사가 범위를 좁혀 들어가서 그 목표에 명중했다.
전치사 to에는 피해나 영향의 의미가 없다. 다음을 비교해 보자. on이 쓰인 문장 (56c)는 내가 영향을 받는다는 뜻이고 to가 쓰인 문장 (56d)에는 그런 뜻이 없다. 문장 (56e)에서는 영향의 뜻이 없으므로 to만 가능하다. 라디오의 주파수를 맞추는 것으로 방송국에 영향을 미칠 수 없기 때문이다.
c. He listened in on me.
그는 (대화에 몰래 끼어들어서) 내 말을 들었다.
(즉 도청을 했다.)
d. He listened in to me.
그는 (내가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는 데 끼어들어서) 내 말을 들었다.
e. He tuned his radio in (to / *on) ABC.
그는 그 라디오의 주파수를 ABC에 맞추어서 들었다.
'영어 > 이기동 영어 구동사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기동 영어 구동사 연구 / PART 2 구동사 분석 / 13 IN / in with (0) | 2021.02.10 |
---|---|
이기동 영어 구동사 연구 / PART 2 구동사 분석 / 13 IN / in for (0) | 2021.02.10 |
이기동 영어 구동사 연구 / PART 2 구동사 분석 / 13 IN / 종결동사와 비종결동사 (0) | 2021.02.10 |
이기동 영어 구동사 연구 / PART 2 구동사 분석 / 13 IN / 시간 한계 (0) | 2021.02.09 |
이기동 영어 구동사 연구 / PART 2 구동사 분석 / 13 IN / 전체의 일부 (0) | 2021.02.09 |